vue를 할 때 처럼 리액트도 마찬가지로 npx create-react-app 을 입력만 해주면 간단하게 프로젝트가 만들어집니다.
vue는 App 컴포넌트 아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추가하면서 프로젝트를 만들어나갔는데요
react도 비슷한 구조입니다.
일단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import './index.css';
import App from './App';
import reportWebVitals from './reportWebVitals';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
root.render(
<React.StrictMode><App /></React.StrictMode>
);
// If you want to start measuring performance in your app, pass a function
// to log results (for example: reportWebVitals(console.log))
// or send to an analytics endpoint. Learn more: https://bit.ly/CRA-vitals
reportWebVitals();
root는 reactDOM 객체의 루트가 되고 그곳에 App컴포넌트들 rendering한다고 되어있습니다. root는 id가 root인 div인데요
index.html에 보면 id가 root인 div가 있습니다. 이 곳에 render를 해주고, 컴포넌트들을 갈아껴주면서 앱이 작동하는 구조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React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선 Hello World를 얼른 찍어봐야할텐데요
빠르게 컴포넌트를 하나 만들어서 띄어보도록 하겠습니다.
src 폴더에 Hello.js를 하나 만들고 다음과 같이 적어줍니다.
import React from'react';
classHelloextendsReact.Component{
render() {
return<h2>Hello, from a class component!</h2>;
}
}
exportdefault Hello;